준비 사항
- 워드프레스 블로그 (관리자 권한 필요)
- Make.com 계정 (무료 계정으로 시작 가능)
- 연결할 데이터 소스 (RSS 피드, 구글 시트, 외부 API 등)
단계별 자동화 과정
1. Make.com 계정 생성 및 설정
- Make.com에서 계정 생성
- 대시보드에서 "Create a new scenario" 클릭
- 시나리오 이름 설정 (예: "워드프레스 자동 포스팅")
2. 워드프레스 연결 설정
- 첫 번째 모듈 추가를 위해 "+" 아이콘 클릭
- 앱 목록에서 "WordPress" 검색하여 선택
- "Create a connection" 클릭하여 새 연결 구성:
- 연결 이름 입력
- 워드프레스 사이트 URL 입력 (https://yoursite.com)
- 관리자 사용자명과 비밀번호 또는 애플리케이션 비밀번호 입력
- "Save" 클릭하여 연결 완료
3. 트리거 설정 (언제 포스팅할 것인가?)
다양한 트리거 옵션이 있습니다:
A. 일정에 따라 자동 포스팅
- 첫 번째 모듈로 "Schedule" 선택
- 원하는 일정 설정 (매일, 매주, 매월 등)
- 시간 및 주기 설정
B. 외부 소스에서 새 콘텐츠가 있을 때 포스팅
- 첫 번째 모듈로 "RSS" 선택
- RSS 피드 URL 입력
- 확인 간격 설정
C. 구글 시트의 새 행을 기반으로 포스팅
- 첫 번째 모듈로 "Google Sheets" 선택
- "Watch Rows" 액션 선택
- 구글 시트 연결 및 시트 ID 설정
4. 콘텐츠 처리 (선택 사항)
필요에 따라 포스팅 전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 "+" 아이콘을 클릭하여 중간 처리 모듈 추가
- 텍스트 포맷팅, 이미지 처리 등을 위한 Text Parser, Image 모듈 등 선택
- AI 도구 연동을 위해 OpenAI, ChatGPT 등의 모듈 사용 가능 (콘텐츠 자동 생성/개선)
5. 워드프레스 포스팅 모듈 설정
- "+"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 모듈 추가
- WordPress 앱 선택
- "Create a Post" 액션 선택
- 다음 설정 구성:
- 제목: 데이터 소스의 제목 필드 매핑 또는 직접 입력
- 콘텐츠: 데이터 소스의 콘텐츠 필드 매핑
- 포스트 타입: Post (또는 필요에 따라 Page, Custom Post Type)
- 상태: Publish (또는 Draft)
- 카테고리 및 태그: 필요에 따라 설정
- 피쳐드 이미지: 이미지 URL 입력 (데이터 소스에서 매핑 가능)
6. 추가 작업 (선택 사항)
포스트 생성 후 추가 작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소셜 미디어 공유: Facebook, Twitter 등 모듈 추가
- 이메일 알림: Email 모듈로 포스팅 완료 알림 설정
- 로그 기록: Google Sheets에 포스팅 기록 저장
7. 시나리오 테스트 및 활성화
- "Run once" 버튼을 클릭하여 시나리오 테스트
- 로그를 확인하여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문제가 없으면 "Activate" 버튼을 클릭하여 시나리오 활성화
실용적인 자동화 예시
예시 1: RSS 피드에서 자동 콘텐츠 큐레이션
- RSS 모듈: 특정 주제의 뉴스 피드 모니터링
- 필터 모듈: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기사만 선택
- HTTP 모듈: 원본 기사 내용 가져오기
- Text Parser: 필요한 부분만 추출
- WordPress 모듈: 출처를 명시하며 요약 포스팅
예시 2: 구글 시트로 콘텐츠 일괄 업로드
- Google Sheets 모듈: 특정 시트의 새 행 감지
- Router 모듈: 상태 열 값에 따라 분기
- WordPress 모듈: "ready" 상태인 행을 포스트로 변환
- Google Sheets 모듈: 처리 완료 후 상태 업데이트
예시 3: 정기적인 AI 생성 콘텐츠 게시
- Schedule 모듈: 주 2회 실행 설정
- OpenAI 모듈: 특정 주제에 대한 콘텐츠 생성
- Text Formatter: 마크다운을 HTML로 변환
- Image Generator: 관련 이미지 생성 또는 Unsplash에서 검색
- WordPress 모듈: AI 생성 콘텐츠 게시
주의사항 및 팁
- API 제한: Make.com 무료 계정은 매월 1,000 operations 제한이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유료 플랜 고려하세요.
- 콘텐츠 품질: 자동 포스팅 시 콘텐츠 품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완전 자동화보다는 초안 생성 후 검토하는 반자동 방식도 고려하세요.
- 오류 처리: 시나리오에 오류 처리 로직 추가 (예: 이메일 알림, 재시도 등)
- 백업: 자동화 전 워드프레스 사이트 백업 생성 권장
- 테스트 모드: 초기에는 "Draft" 상태로 포스팅하여 콘텐츠 검토 후 발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Make.com을 활용한 워드프레스 포스팅 자동화는 시간 절약과 일관된 콘텐츠 게시에 큰 도움이 됩니다. 필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자동화 수준을 조정하면서 최적의 워크플로우를 찾아보세요.
'IT 활용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e.com을 활용한 WordPress 블로그 자동 포스팅 방법 (1) | 2025.03.08 |
---|---|
Make.com과 다양한 도구의 연동 및 자동화 활용법 (0) | 2025.03.08 |
Evernote vs Notion: 협업부터 개인 정리까지, 어떤 서비스가 더 좋을까? (0) | 2025.03.06 |
이노리더(Inoreader) 200% 활용 꿀팁 모음 (0) | 2025.03.03 |
롱테일 키워드, 노출·클릭 분석 툴 총정리: Search Console부터 Ahrefs까지!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