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투자 74

IntelliJ vs VS Code: Mac용 주요 단축키 비교 총정리

참고: macOS 운영체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Windows의 경우 일반적으로 Cmd → Ctrl, Option → Alt로 대체하시면 됩니다.기본 편집 단축키기능IntelliJVS Code저장⌘ + S⌘ + S복사⌘ + C⌘ + C잘라내기⌘ + X⌘ + X붙여넣기⌘ + V⌘ + V실행 취소⌘ + Z⌘ + Z다시 실행⌘ + ⇧ + Z⌘ + ⇧ + Z행 복제⌘ + D⌥ + ⇧ + ↓행 삭제⌘ + ⌫⇧ + ⌘ + K행 이동⌥ + ⇧ + ↑/↓⌥ + ↑/↓여러 커서 선택⌥ + ⇧ + 마우스 클릭⌥ + 마우스 클릭들여쓰기TabTab내어쓰기⇧ + Tab⇧ + Tab모두 선택⌘ + A⌘ + A행 주석 처리/해제⌘ + /⌘ + /블록 주석 처리/해제⌥ + ⌘ + /⌥ + ⇧ + A검색 및 이동 단축키기능Inte..

듀얼 브레인 (Dual Brain) 소개

이선 몰릭(Ethan Mollick) 교수의 저서 "듀얼 브레인" (원제: Co-Intelligence: Living and Working with AI)은 인공지능(AI), 특히 챗GPT와 같은 거대 언어 모델(LLM)을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인간 지능을 확장하고 보완하는 '제2의 뇌(Dual Brain)' 또는 **'협력적 지능(Co-Intelligence)'**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주요 내용:AI와의 협업: 이 책은 AI를 단순히 명령을 수행하는 도구로만 볼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창의적인 작업을 돕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파트너로 활용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AI는 인간과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는 '외계 지능'과 같아서, 이를 이해하고 협업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

2025년 2월 미국에서 가장 많이 방문한 웹사이트: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2월 기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방문한 웹사이트 순위와 함께 각 사이트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보려 합니다. 이 데이터는 검색 마케팅 툴인 Semrush에서 제공한 통계 자료이며, 실제 통계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보시길 바랍니다.1. 사이트별 방문자 수 및 순위구글(Google) - 257억세계 최대 검색 엔진. 알파벳(Alphabet Inc.)의 대표 서비스로, 검색뿐 아니라 이메일(Gmail), 클라우드 드라이브(Google Driv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유튜브(YouTube) - 122억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플랫폼. 구글 자회사로, UGC(사용자 생성 콘텐츠)에서부터 전문 제작사 콘텐츠까지 다양한 동영상을 시청, 업로드 가능.레딧(Redd..

LINE Messenger 글로벌 성공기: 연도별 히스토리와 주요 비결

연도별주요히스토리연도별 주요 히스토리2011년발단 및 출시일본 NHN Japan(현 LINE Corporation)이 동일본 대지진(2011년 3월) 이후, 재난 상황에서 원활한 의사소통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사내 프로젝트로 라인(LINE) 메신저를 개발.2011년 6월, 스마트폰 메신저 앱 ‘라인(LINE)’ 정식 출시(일본).2012년초기 성장출시 1년 만에 누적 가입자 5,000만 명 돌파.스티커(Sticker) 기능을 통한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큰 인기를 끌기 시작.2013년글로벌 진출 가속화동남아 및 타 아시아 시장 공략 본격화. 태국, 대만,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빠른 속도로 이용자 확보.누적 가입자 2억 명 돌파.다양한 IP(캐릭터) 상품화 전략 및 캐릭터 스토어(오프라인) 운영 시작..

오픈채팅 최신 신조어 총정리

인사/대화 관련 신조어ㅎㅇ - 안녕하세요의 초성ㅂㅇ - 반갑습니다/반가워요의 초성ㄱㄱ - 고고(가자, 시작하자)ㄱㅅ - 감사합니다ㅇㅇ - 응/네/맞아요ㄴㄴ - 아니/아니요ㅊㅊ - 축하해요ㅋㅋ - 웃음소리ㅎㅎ - 웃음소리(부드러운 웃음)ㄷㄷ - 덜덜(놀람, 충격)ㅇㄱㄹㅇ - 이거레알이야(정말이야)ㅇㅈ - 인정ㄹㅇ - 레알(정말)ㅍㅎ - 편해요(친해지자는 의미)상태/감정 표현 신조어답장각 - 답장할 가치가 있다는 의미삭제각 - 대화/관계를 삭제해야 할 상황현타 - 현실 자각 타임(갑자기 현실을 자각하고 허탈감이 드는 순간)좋댓구알 - 좋아요, 댓글, 구독, 알림설정고맙송 - 고맙습니다의 귀여운 표현갑통알 - 갑자기 통장을 보니 알바해야겠다눈팅 - 글을 올리지 않고 보기만 함취침각 - 잠자리에 들어야 할 시간..

오늘의집: 설립부터 현재까지의 성장과 비즈니스 모델

설립 배경 및 초기 성장 전략오늘의집은 2014년 7월 이승재 대표 등이 설립한 스타트업 버킷플레이스가 선보인 인테리어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입니다 (Microsoft Word - 오늘의집_230113.docx). 창업자는 대학 시절 지인의 감각적인 집 내부를 보고 감명을 받아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후회할 것”이라는 결심으로 창업에 나섰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익환이 만난 혁신 기업가(18) ‘오늘의 집’ 이승재 버킷플레이스 대표) (김익환이 만난 혁신 기업가(18) ‘오늘의 집’ 이승재 버킷플레이스 대표). 서비스 초기에는 인테리어 전문가들이 올린 화보 같은 콘텐츠로 시작했지만,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실용적 아이디어를 공유하도록 전략을 수정했습니다 (김익환이 만난 혁신 기업가(18) ..

당근마켓, 하이퍼로컬 전략으로 이룬 성장: 지역 확장, 서비스 발전사, MAU 변화 분석

**당근마켓(이하 당근)**은 2015년 판교의 작은 중고장터로 시작해 10년이 채 안 돼 전국민이 사용하는 하이퍼로컬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당신 근처의 마켓"이라는 의미의 이름답게 반경 6km 내 동네 이웃들끼리만 거래하도록 한 혁신적인 전략으로 지역 커뮤니티 문화를 새롭게 열었습니다 (당근마켓이 '중고거래 앱'이 아닌 이유). 본 포스팅에서는 당근의 하이퍼로컬 전략과 지역 확장 방법, 서비스 발전 과정(2015~2025), 그리고 연도별 월간 활성 사용자(MAU) 지표와 성장 동력을 살펴보겠습니다.1. 당근마켓의 하이퍼로컬 전략 분석① 신규 지역 확장 방식: 당근은 서비스 초기부터 근거리 직거래 원칙을 고수했습니다. *“거래는 최대 반경 6km까지”*라는 제약을 두고 전국구 플랫폼과 경쟁하기보다 동..

개인 AI 비서의 역사

초기 가상 비서 개념은 1960년대에 등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1966년 MIT에서 개발된 ELIZA는 가장 원시적인 챗봇으로 인간과 대화 흉내를 시도했으며, 이후 1972년 등장한 PARRY 등 초창기 텍스트 챗봇들이 등장했습니다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Virtual Assistants). 1990년대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인 팜파일럿, 애플 뉴턴 등이 일정 관리 등 제한적인 비서 역할을 했고,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클리피(Clippy)와 같은 텍스트 기반 디지털 조수도 시도되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진 못했습니다 (Voice Assistant Timeline: A Short History of the Voice Revolution -..

디지털 일상의 새 동반자: 개인 비서용 AI 서비스의 진화와 최신 트렌드

서론: 개인 비서 서비스의 등장과 진화디지털 기술이 우리 일상에 깊숙이 파고들면서, 개인 비서용 AI 서비스는 단순한 기술적 흥미거리에서 필수적인 생활 도구로 진화했습니다. 2011년 애플의 시리(Siri) 출시를 시작으로, 개인 비서 서비스는 지난 10여 년간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초기에는 간단한 날씨 정보나 알람 설정 같은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했지만, 오늘날에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복잡한 대화를 이해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며,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이 글에서는 개인 비서용 AI 서비스의 발전 과정과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앱들, 그리고 이 분야의 미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개인 비서 서비스의 발전 단계1. 명령 기반 시스템 (2011-2015)애플 ..

샘 알트먼: 생애와 경력, OpenAI와 기술 산업에서의 역할, 최근 활동 및 뉴스

생애 및 경력샘 알트먼(Samuel Harris Altman, 1985년 4월 22일 출생)은 미국의 기업가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Y 콤비네이터(Y Combinator)**의 사장을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역임했고 2019년부터 인공지능 연구기업 **OpenAI(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로 재직하고 있다 (Sam Altman | Biography, OpenAI, Microsoft, & Facts | Britannica). 그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태어나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교외에서 성장했으며, 어린 시절부터 숫자와 컴퓨터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Sam Altman | Biography, OpenAI, Microsoft, & Facts | Britannica). 10대 시절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