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5

냅킨 AI(Napkin AI): 아이디어를 빠르게 기록하고 연결해주는 혁신적인 노트 테이킹 툴

1. Napkin AI란 무엇인가?Napkin AI는 생각의 단편(노트)를 자유롭게 기록하고, AI가 이를 분석∙연결해주는 노트 테이킹 및 지식 관리 도구입니다. 기존의 메모 앱이 단순히 ‘노트를 저장’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Napkin AI는 메모 간의 유사성, 연관성을 자동으로 찾아주어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구조화된 정보를 얻도록 지원합니다.핵심 특징빠른 노트 작성: 마치 ‘포스트잇’을 붙이듯이 간단히 아이디어를 기록자동 연결: 유사하거나 관련된 노트끼리 AI가 제안하는 연결선(Link)시각화: 개별 노트를 화면에 캔버스 형태로 배치해 직관적 구조 파악협업 기능: 팀원 또는 지인과 함께 아이디어 보완∙공유 가능(일부 요금제 한정)2. 주요 사용법회원가입 및 로그인Napkin 공식 ..

PyCharm에서 Cursor로 넘어가기 - 주요 단축키와 AI 리팩토링 팁

PyCharm은 JetBrains가 만든 강력한 Python IDE로, 풍부한 기능과 편리한 단축키로 많은 개발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죠. 그런데 최근 Cursor라는 AI 코딩 에디터가 등장해, 자동완성부터 리팩토링까지 생성형 AI를 이용한 편리함을 앞세워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PyCharm 사용자가 Cursor로 넘어갈 때 알아두면 유용한 주요 단축키와 AI 리팩토링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1. Cursor란 무엇인가?Cursor는 ChatGPT 등 대형 언어 모델(LLM) 기반의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한 코드 에디터입니다. VS Code의 확장 구조를 참고한 것처럼 가벼운 IDE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AI 보조: 코드 자동완성, 리팩토링, 주석 생성, 문서화 등..

버티컬 AI란? 산업별 특화 AI 툴과 플랫폼 총정리

버티컬 AI(Vertical AI)란?최근 들어 인공지능 기술이 산업과 분야별로 깊숙이 접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 의료, 제조, 물류 등 특정 산업(버티컬)에서 요구되는 니즈에 초점을 맞춘, 소위 ‘버티컬 AI’가 주목받고 있는데요. 버티컬 AI(Vertical AI)는 말 그대로 특정 영역에 특화된 인공지능 서비스를 의미합니다.수직 산업(Vertical Industry)에 초점을 맞춘 AI 솔루션범용 AI(General AI)보다 문제 정의와 솔루션 적용 범위가 구체적이고 좁지만, 도메인 전문성이 깊음제조, 물류, 헬스케어, 법률, 금융, 건설,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으로 AI가 제공됨개발자들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을 단순 처리하는 범용 AI와 달리, 버티컬 AI는 각 산업의 데이터..

마인드덕(Mind Duck): 창의적 사고를 돕는 직관적 아이디어 매핑 툴

최근 생산성∙창의성 관련 툴들이 AI, 시각화 기능 등을 접목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Mind Duck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탄생한 아이디어 매핑(Mind Mapping) 툴로, 아이디어를 빠르게 정리하고,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단순히 노트를 저장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시각적 맵 + 협업 기능 + AI 보조 등을 통해 보다 유연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생각을 확장해볼 수 있습니다.1. Mind Duck란 무엇인가?Mind Duck은 뇌 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빠르게 캡처하고, 이를 트리(Tree) 형태나 여러 가지 구조(브레인스토밍 맵 등)로 시각화해주는 창의적 사고 보조 도구입니다.아이디어(노드)를 생성하고, 여러 갈래의 가지(Branch)로 확장메모, 링크, ..

매그니피션트 7(Magnificent 7) 란?

매그니피션트 7(Magnificent 7)주로 미국 증시에서 시가총액이 매우 크고,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7개 빅테크 기업을 일컫는 표현입니다.해당 기업들은 다음과 같으며, 공식 웹사이트 링크를 함께 안내해 드립니다.애플(Apple)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알파벳(Alphabet, 구글 모회사)아마존(Amazon)메타(Meta, 구 페이스북)엔비디아(NVIDIA)테슬라(Tesla)1. 애플(Apple)개요: 아이폰(iPhone), 아이패드(iPad), 맥(Mac), 애플 워치(Apple Watch) 등 다양한 하드웨어와 함께 iOS, macOS 등 소프트웨어 플랫폼, 그리고 애플 뮤직∙애플 TV+∙앱스토어 등 서비스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특징:스마트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 및 강력한 ..

중국 경제를 뒤흔드는 테리픽 10 기업 정리 (2021~2024 전망)

중국은 세계 경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대 시장이자 글로벌 트렌드를 이끄는 첨단 기술의 무대입니다. ‘테리픽 10’이라고 할 만한 중국 대표 기업들은 전자상거래, SNS, 배터리, 스마트기기, 자동차, 바이오 등 다양한 영역에서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며 세계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요. 오늘은 중국을 대표하는 10개 기업의 최근 매출·영업이익 추이와 핵심 사업 모델, 그리고 앞으로 주목해야 할 성장 포인트를 살펴보겠습니다.1. 알리바바(Alibaba Group)성장 과정1999년 마윈(马云)이 설립한 전자상거래 스타트업에서 출발, 타오바오(Taobao), 티몰(Tmall), 알리페이(Alipay) 등을 성공적으로 론칭하며 중국 최대 이커머스·핀테크 그룹으로 성장했습니다.사업 모델 & 수익 모델온라인..

생성형 AI 소비 트렌드 심층 분석: 빅테크 활용 사례와 유망 스타트업

오늘날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일반 소비자부터 기업까지 폭넓게 활용되며 소비 트렌드에 큰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콘텐츠를 AI가 직접 생성해내면서, 콘텐츠 제작 방식과 소비자 경험이 혁신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성형 AI의 최신 소비 트렌드를 살펴보고, 해외 빅테크 기업들과 유망 스타트업들의 활용 사례를 통해 변화상을 분석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트렌드가 가져올 미래 전망과 기업들을 위한 시사점을 정리합니다.1. 생성형 AI 소비 트렌드 개요● 일상 속에 자리잡은 생성형 AI: 2022년 말 공개된 OpenAI의 ChatGPT를 기점으로, 생성형 AI는 단기간에 폭발적인 성장을 이뤘습니다. ChatGPT는 출시 두 달 만에 월간 사용자 1..

미래 모빌리티를 이끄는 자율주행 레벨 총정리: 테슬라·바이두 사례 분석

자율주행 레벨 개요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은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주행 상황을 인지·판단·제어하는 기술입니다.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서 제정한 ‘SAE J3016’ 표준에 따라 자율주행은 레벨 0부터 레벨 5까지 총 6단계로 구분합니다.레벨 0(운전자 중심)차량이 주행과 관련해 거의 모든 상황을 운전자가 직접 조작예시: 크루즈 컨트롤 없이 사람이 가속·핸들·제동 모두 담당레벨 1(운전자 보조)일부 주행 기능(가속·감속/차선 유지 등)만 차량이 보조예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 등레벨 2(부분 자동화)가속·감속과 조향(핸들 조작)을 차량이 동시에 수행 가능단, 운전자는 항시 주의 집중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 시 즉시 개입예시: 테슬라 오..

카카오페이 임원 대량 매도 사건: 주가 급락과 책임경영 논란

아래 글은 2021년 말~2022년 초 “카카오페이 임원 대량 매도(소위 ‘먹튀’) 사건”에 대한 정리입니다.당시 IPO(기업공개) 직후 카카오페이 임원들이 보유 주식을 대거 매도하면서, 주가 급락과 투자자들의 반발을 야기했는데요.해당 사건의 전개 과정과 주요 쟁점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1. 사건 개요카카오페이 IPO:2021년 11월 3일 코스피 상장공모가 90,000원, 상장일 시초가 180,000원(공모가 대비 2배) → 장중 상한가를 기록하면서 단숨에 ‘대형 핀테크주’로 주목받음임원 주식 대량 매도 (2021년 12월 말):상장 후 약 두 달 만인 2021년 12월 10일~29일 사이, 류영준 당시 대표이사(CEO)를 포함한 주요 임원 8인이 카카오페이 보유 주식을 대거 매도매도 규모는 약 44..

카카오 & 동종 업계 임원 연봉 및 영업이익률 비교

최근 국내 주요 IT·테크 기업들의 임원·CEO 보상 수준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특히 카카오를 비롯한 네이버, 라인, 쿠팡, 토스, 삼성전자 등이 활발히 성장하면서, 임원 보수(기본급 + 성과급 + 스톡옵션 등 총보상)가 어떻게 책정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카카오의 2017~2019년 임원 보상 정보부터, 2020~2024년 동종 업계 임원 보상 및 영업이익률 비교까지 한 번에 정리해봅니다.1. 카카오 임원 보상 – 2017~2019년2017년CEO: 당시 대표이사는 임지훈 전 대표(2015~2018 재임)총보수:2017년 임 대표의 연봉(급여+상여)은 대략 3~5억 원대로 추정스톡옵션 행사 이익은 거의 없었고, 경영 성과급 위주로 보상기타 임원:대부분 연봉이 5억 원 이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