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를 직접 설치하고 호스팅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도메인 구매부터 워드프레스 설치 및 초기 설정까지 전체 과정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각 단계별로 추천 서비스와 링크도 함께 제공합니다.
1. 도메인 이름 구매하기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주소(예: example.com)입니다. 다양한 도메인 등록 업체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추천 도메인 등록 업체:
- 가비아(Gabia) - 한국 최대 도메인 등록 업체
- 가비아 공식 웹사이트
- 장점: 한국어 지원, 다양한 부가서비스, 국내 고객 지원
- 가격: 연 12,000원~ (도메인 종류에 따라 다름)
- 후이즈(Whois) - 국내 대표 도메인 등록 업체
- 후이즈 공식 웹사이트
- 장점: 합리적인 가격, 간편한 인터페이스
- 가격: 연 11,000원~ (도메인 종류에 따라 다름)
- Namecheap - 해외 유명 도메인 등록 업체
- Namecheap 공식 웹사이트
- 장점: 저렴한 가격, 무료 WhoisGuard, 영문 도메인 다양한 옵션
- 가격: 연 $8.88~ (도메인 종류에 따라 다름)
- GoDaddy - 세계 최대 도메인 등록 업체
- GoDaddy 공식 웹사이트
- 장점: 다양한 TLD 지원, 수많은 부가 서비스
- 가격: 연 $11.99~ (도메인 종류와 프로모션에 따라 다름)
도메인 구매 과정:
- 원하는 도메인 등록업체 사이트 방문
- 도메인 검색창에 희망하는 도메인 이름 입력
- 사용 가능한 도메인 확인 및 선택
- 도메인 등록 기간 선택 (보통 1-10년)
- 결제 진행
- 개인 정보 입력 및 계정 생성
2. 웹 호스팅 서비스 구매하기
웹 호스팅은 웹사이트 파일을 저장하고 인터넷에 연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에 적합한 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웹 호스팅 업체:
- 카페24 호스팅 - 국내 대표 웹 호스팅 서비스
- 카페24 호스팅 공식 웹사이트
- 장점: 한국어 지원,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국내 서버
- 가격: 월 5,900원~ (플랜에 따라 다름)
- 블루호스트(Bluehost) - 워드프레스 공식 추천 호스팅
- 블루호스트 공식 웹사이트
- 장점: 워드프레스 최적화, 무료 도메인(1년), 원클릭 설치
- 가격: 월 $2.95~ (프로모션 및 플랜에 따라 다름)
- SiteGround - 워드프레스 추천 호스팅
- SiteGround 공식 웹사이트
- 장점: 뛰어난 속도와 보안, 무료 SSL, 전문적인 지원
- 가격: 월 $3.99~ (플랜에 따라 다름)
- 코리아호스팅 - 국내 중소 규모 웹 호스팅
- 코리아호스팅 공식 웹사이트
- 장점: 저렴한 가격, 국내 서버, 무제한 트래픽
- 가격: 월 4,400원~ (플랜에 따라 다름)
- 호스팅케이알 - 국내 워드프레스 특화 호스팅
- 호스팅케이알 공식 웹사이트
- 장점: 워드프레스 최적화, LiteSpeed 서버, 한국어 기술지원
- 가격: 월 6,600원~ (플랜에 따라 다름)
호스팅 선택 시 고려사항:
- 서버 위치: 주 타겟 독자가 한국인이라면 국내 서버가 유리함
- 자원 할당: CPU, RAM, 스토리지, 트래픽 제한 확인
- PHP 버전: 최신 PHP 버전 지원 여부
- MySQL/MariaDB 지원
- SSL 인증서 무료 제공 여부
- 백업 서비스 제공 여부와 주기
- cPanel 또는 관리 패널 사용 편의성
호스팅 구매 과정:
- 호스팅 업체 웹사이트 방문
- 워드프레스에 적합한 호스팅 플랜 선택
- 이미 구매한 도메인 사용 선택 (또는 새 도메인 구매)
- 호스팅 계약 기간 선택 (보통 1-3년)
- 부가 서비스 검토 및 필요한 것만 선택
- 결제 진행
- 계정 정보 확인 및 cPanel(또는 관리 패널) 접속 정보 저장
3. 도메인과 호스팅 연결하기 (DNS 설정)
도메인과 호스팅을 다른 업체에서 구매한 경우, 두 서비스를 연결해야 합니다. 이는 DNS(Domain Name System) 설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DNS 설정 방법:
- 호스팅 업체에서 네임서버(Nameserver) 정보 확인
- 보통 ns1.yourhost.com, ns2.yourhost.com 형태
- cPanel에서 확인 가능하거나 호스팅 환영 이메일에 포함됨
- 도메인 등록 업체 관리 패널 로그인
- 도메인 관리 페이지에서 'DNS 설정' 또는 '네임서버 변경' 메뉴 선택
- 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 정보 입력
- 변경사항 저장 (DNS 전파에 최대 24-48시간 소요될 수 있음)
4.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는 자동 설치 도구를 제공하지만, 수동 설치 방법도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방법 1: 자동 설치 (권장)
- 호스팅 cPanel 로그인
- '원클릭 설치' 또는 'Softaculous', 'Fantastico', 'Installatron' 같은 자동 설치 도구 찾기
- WordPress 선택
- 설치 정보 입력:
- 설치 URL (보통 도메인 루트인 http://yourdomain.com/)
- 사이트 제목
- 관리자 사용자명 (admin은 피하세요)
- 비밀번호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 관리자 이메일
- 설치 버튼 클릭
- 설치 완료 후 관리자 URL과 로그인 정보 저장
방법 2: 수동 설치
- 워드프레스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 다운로드
- ZIP 파일 압축 해제
- FTP 클라이언트(FileZilla 등) 설치:
- FTP 클라이언트로 호스팅 서버 연결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한 FTP 정보 사용)
- 워드프레스 파일을 호스팅의 공개 디렉토리(public_html)에 업로드
- 웹 브라우저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 생성:
- cPanel의 MySQL 데이터베이스 도구 사용
- 데이터베이스 이름, 사용자, 비밀번호 기록
- 브라우저에서 도메인 접속하여 워드프레스 설치 마법사 실행
- 언어 선택 후 데이터베이스 정보 입력
- 사이트 정보와 관리자 계정 설정
- 설치 완료
5. 워드프레스 초기 설정
워드프레스를 설치한 후 몇 가지 중요한 초기 설정을 해야 합니다.
기본 설정:
- 관리자 대시보드 로그인:
- http://yourdomain.com/wp-admin/
- 설치 과정에서 생성한 사용자명과 비밀번호 입력
- 퍼멀링크 설정:
- 설정 → 퍼멀링크
- SEO에 유리한 '포스트 이름' 구조 선택
- 저장
- 일반 설정:
- 설정 → 일반
- 사이트 제목, 태그라인, 시간대 등 확인 및 수정
- 저장
- 읽기 설정:
- 설정 → 읽기
- 홈페이지 표시 설정 (최근 글 또는 정적 페이지)
- 페이지당 글 수 설정
- 저장
6. 테마 설치 및 설정
워드프레스의 외관은 테마를 통해 결정됩니다. 무료 또는 유료 테마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무료 테마 설치:
- 대시보드 → 외모 → 테마 → 새로 추가
- 원하는 테마 검색 또는 '인기 있는 테마' 탐색
- 테마 미리보기 및 '설치' 클릭
- 설치 완료 후 '활성화' 클릭
추천 무료 테마:
- Astra - 다목적 경량 테마
- GeneratePress - 빠른 속도와 높은 SEO 점수
- OceanWP - 다양한 무료 템플릿 제공
유료 테마 구매 및 설치:
- 유료 테마 마켓플레이스 방문:
- 테마 구매 및 ZIP 파일 다운로드
- 대시보드 → 외모 → 테마 → 새로 추가 → 테마 업로드
- ZIP 파일 선택 및 '지금 설치' 클릭
- 설치 완료 후 '활성화' 클릭
- 라이센스 키 입력 (필요한 경우)
7. 필수 플러그인 설치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의 기능을 확장합니다. 블로그 운영에 필요한 필수 플러그인을 설치하세요.
플러그인 설치 방법:
- 대시보드 → 플러그인 → 새로 추가
- 원하는 플러그인 검색
- '지금 설치' 클릭
- 설치 완료 후 '활성화' 클릭
추천 필수 플러그인:
- Yoast SEO - 검색 엔진 최적화
- Wordfence Security - 보안 강화
- UpdraftPlus - 백업 및 복원
- WP Super Cache - 사이트 속도 향상
- Contact Form 7 - 연락처 양식
- All-in-One WP Migration - 사이트 마이그레이션
- MonsterInsights - Google Analytics 연동
8. 보안 설정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보안을 강화하는 몇 가지 중요한 설정이 있습니다.
보안 강화 단계:
- SSL 인증서 설치:
- 호스팅 cPanel에서 Let's Encrypt 또는 무료 SSL 설치
-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 설정 → 일반에서 URL을 http에서 https로 변경
- 워드프레스 및 플러그인 정기 업데이트:
- 대시보드 → 업데이트에서 확인 및 실행
- 강력한 관리자 비밀번호 사용:
- 대시보드 → 사용자 → 프로필에서 변경
- 보안 플러그인 설정:
- Wordfence 또는 Sucuri 보안 설정 실행
- 로그인 페이지 보호:
- WPS Hide Login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기본 로그인 URL 변경
9. 성능 최적화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속도를 최적화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과 SEO에 중요합니다.
최적화 단계:
- 캐싱 플러그인 설정:
- WP Super Cache 또는 W3 Total Cache 설정
- 이미지 최적화:
- Smush 또는 ShortPixel 플러그인 설치 및 설정
-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 WP-Optimize 플러그인으로 정기적 정리
- 호스팅 CDN 연결 (선택사항):
10. 콘텐츠 작성 및 발행
이제 워드프레스 설치와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고 발행할 차례입니다.
첫 포스트 작성:
- 대시보드 → 글 → 새로 추가
- 제목 입력 및 Gutenberg 편집기로 콘텐츠 작성
- 카테고리 및 태그 설정
- 특성 이미지 추가
- SEO 설정 (Yoast SEO 플러그인 사용)
- 미리보기로 확인
- '발행' 클릭
추가 팁과 자료
워드프레스 학습 자료:
- 워드프레스 공식 문서:
- 워드프레스 TV:
- 국내 워드프레스 커뮤니티:
트러블슈팅 자료:
- 워드프레스 포럼:
- 스택 익스체인지:
결론
워드프레스를 직접 설치하고 호스팅하는 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한 번 설정을 완료하면 강력하고 유연한 웹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를 따라 설치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한 후에는 콘텐츠 작성에 집중하면서 필요에 따라 기능을 확장해 나갈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가장 큰 장점은 필요에 따라 계속 발전시킬 수 있는 확장성입니다. 처음에는 간단하게 시작하더라도, 블로그가 성장함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참조 할만한 블로거
https://www.thewordcracker.com/
워드프레스 정보꾸러미 - 워드프레스 테마와 플러그인 정보 제공
워드프레스, 아바다, Divi, GeneratePress 테마와 플러그인, 클라우드웨이즈 웹호스팅 소개, 워드크래커
www.thewordcracker.com
'IT 활용 기술 > it 관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완벽 정리: 개념부터 활용 사례까지 (0) | 2025.03.07 |
---|---|
SEO 관점에서 좋은 도메인을 만드는 방법 (0) | 2025.03.07 |
워드프레스 도메인 구매 vs 직접 설치 호스팅: 블로그 운영 방식 비교 (0) | 2025.03.06 |
개인정보 보호 시대의 맥락 기반 광고: 개념, 기술, 사례 및 전망 (0) | 2025.03.06 |
디지털 광고 용어 완벽 정리! (CPM, CPC, CPA, CTR 등)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