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투자/tech 트렌드

대체육 시장 완벽 분석: Beyond Meat 사례부터 맛·가격 이슈까지

glasslego 2025. 3. 2. 20:27

1. 대체육(Alternative Meat) 시장 개요

1.1 정의 및 트렌드

  • 대체육(Alternative Meat)이란, 식물성(Plant-based) 원료나 세포배양(Cell-based) 기술 등을 통해 고기와 유사한 맛·식감을 구현한 식품을 말합니다.
  • 등장이유:
    1. 환경 부담(축산업의 온실가스·자원 사용 문제),
    2. 동물 복지,
    3. 건강 및 윤리적 가치
      등이 부각되면서 기존 육류 소비에 대한 대안이 필요해졌기 때문입니다.

1.2 시장 규모

  • 여러 글로벌 리서치 기관 추정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 세계 대체육 시장은 약 70~80억 달러 규모.
  • 2030년에는 1,400억~2,000억 달러 수준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며,
    연평균 10~15% 이상의 고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1
  • 국내·아시아 시장 역시 아직 초기이지만, 대기업·정부·스타트업 등이 적극적으로 뛰어들며 빠른 확장세를 보입니다.

2. 대체육 업계 주요 업체

2.1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

  1. Beyond Meat (미국)
    • 대표 제품: Beyond Burger, Beyond Sausage 등.
    • 유통망: 대형 프랜차이즈(맥도날드, KFC 등), 대형 슈퍼마켓 등에 폭넓게 입점.
    • 맛 평가: 일반 쇠고기 대비 80~90% 식감 유사하다는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도 존재.
  2. Impossible Foods (미국)
    • 특징: 대두(콩)에서 추출한 ‘헤믹(Heme)’으로 육즙과 색감을 구현.
    • 협업 사례: 버거킹 ‘Impossible Whopper’ 등, 미국 패스트푸드 시장 점유율 확대.
  3. Eat Just (미국)
    • 식물성 달걀 ‘JUST Egg’으로 시작해 배양육 치킨 분야에서도 선도.
    • 싱가포르에서 세계 최초 상용화 승인(배양 치킨)을 획득해 화제가 됨.
  4. 기존 대형 식품사: Nestlé, Tyson Foods 등도 자체 식물성 라인업 확대 또는 스타트업 투자로 시장 진입 중.

2.2 국내·아시아 업체 및 스타트업

지구인컴퍼니(언리미트)

  • 불고기·떡갈비 등 한식 기반 대체육, 미국·홍콩 등에 수출
  • 국산 곡물·야채 등을 사용해 ‘한식 기반 대체육’이라는 차별화 전략

신세계푸드(베러미트), 롯데푸드(제로미트):

  • 대기업 차원에서 자체 브랜드 론칭, 유통망 강점을 살린 마케팅.

Green Monday / OmniFoods (홍콩):

  • 아시아식 돼지고기·만두·해산물 대체 제품 등 다양화.

Mosa Meat(네덜란드)

  • 세계 최초 배양육(소고기) 시범 생산을 발표했던 유럽 스타트업.
  • 재밌는 점: 실험실에서 길러낸 ‘소 세포’로 만든 패티를 2013년 공개 시연, 이후 상용화를 위한 비용·공정 개선 중.

Shiok Meats(싱가포르)

  • 새우·랍스터 등 해산물 대체를 위한 세포배양 기술
  • 싱가포르 규제 허가: 세계 최초로 배양 치킨 상용화를 승인한 나라답게, 해산물 대체 분야도 빠르게 성장 중

New Age Meats(미국)

  • 세포배양(배양육) 기반으로 미래 식량 혁신을 선도.

3. Beyond Meat 사례

3.1 회사 개요

  • 설립연도: 2009년, 캘리포니아.
  • 주요 제품: Beyond Burger(소고기 대체), Beyond Sausage(소시지 대체), Beyond Beef(분쇄육 대체) 등.
  • 특징: 초기 상장 후 빠르게 매출이 늘었으나, 최근 시장 경쟁 심화·비용 문제로 수익성 악화.

3.2 매출·영업 이익 추이

  • 연 매출(Revenue)
    • 2021년: 약 4억 6400만 달러
    • 2022년: 약 4억 1900만 달러 (전년 대비 소폭 감소)2
  • 영업 이익(Operating Income) 및 순손실
    • 마케팅·R&D·인프라 비용 탓에 적자 상태 지속.
    • 2022년 기준 순손실이 3억 달러 후반대에 이르며, 최근 구조조정 및 비용 절감 노력 중.
  • 재무 요약
    • 초창기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했으나, 최근 시장 경쟁력 확보와 생산 단가 문제로 적자가 이어지는 상태.
    • 장기적으로는 규모의 경제와 기술 고도화로 원가 절감맛·품질 개선을 노리고 있음.

3.3 맛(퀄리티) 평가 보고서

  • 소비자 블라인드 테스트
    • 식감·외형·심지어 육즙(‘비트 주스’ 활용 등) 부분에서 **꽤 ‘고기 같다’**는 반응 다수.
    • 다만 구울 때 나는 향이나 미묘한 육향이 실제 소고기와는 조금 다른 지적도 존재.3
  • 영양·건강 측면
    • 콜레스테롤·포화지방이 낮아 “대체 건강식” 이미지가 있으나, 나트륨 등 다른 첨가물은 유의 필요.
  • 향후 전망
    • Beyond Meat는 대체육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글로벌 유통망이 탄탄해 향후 시장이 확대되면 수익성 개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4. 성장 가능성과 과제

  1. 환경·동물 복지 측면에서 우호적
    • 육류 소비가 늘어날수록 축산업의 온실가스, 사료·수자원 사용량 문제가 커짐.
    • 대체육은 이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정부 지원이나 투자 유치가 활발해지고 있음.
  2. 맛·가격 경쟁력 확보 필수
    •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구매하려면, “맛은 진짜 고기와 구분 어렵고, 가격은 유사 수준”을 원함.
    • 현재는 다소 비싸고 맛·식감이 100% 동일하지 않아 “한 번쯤 호기심에 먹는” 단계라는 지적도.
  3. 세포배양육(Cultured Meat)
    • 식물성 대체육보다 진짜 육류와 유사하지만, 생산 단가가 매우 높고, 각국 규제(식용 허가)도 엄격.
    • 싱가포르에서 이미 상용화가 시작되었고, 미국·유럽·아시아 등도 추후 허가 절차를 밟으면 시장 판도가 크게 바뀔 전망.
  4. 소비자 수용도·규제 정비
    • 배양육, 발효 기반 대체 단백질 등 새로운 형태의 식품에 대한 신뢰 형성이 중요.
    • ‘라벨링 논란’(식물성 제품에 ‘고기’ 명칭 사용 가능 여부), 안정성 평가, 할랄·코셔 등 종교적 기준 등도 고려 대상.

5. 결론

대체육 시장은 환경·윤리·건강 이슈로 인해 장기적으로 성장이 예상되며, Beyond Meat·Impossible Foods 등 선발 주자 외에도 대기업, 스타트업이 빠르게 참전하는 고도 경쟁 시장이 되었습니다. 맛과 가격 면에서 가짜 고기와 진짜 고기의 경계가 점차 흐려질수록, 소비자와 투자자들의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결국 소비자가 재구매할 만큼 맛있고,
실제 고기와의 가격 격차를 줄이는 것

대체육 보급 확산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6. 참고 링크

  1. Good Food Institute (GFI)
  2. Bloomberg Intelligence: Plant-Based Foods Report
  3. Beyond Meat (Investor Relations)
  4. Consumer Reports
  5. 지구인컴퍼니(언리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