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뷰노(VUNO)
- 홈페이지: https://vuno.co
- 분야: 의료 AI (영상 분석, 진단 보조)
- 매출·영업이익:
- KOSDAQ 상장사로 2022년 기준 연 매출 약 40~50억 원대 (전년대비 증가 추세), 영업손실 상태 지속
- (정확한 최신 수치는 공시 자료를 참고)
- MAU: B2B 의료솔루션 위주여서 일반적인 MAU 개념보다는, 병원·의료기관 도입 수가 주요 지표
- 국내외 대형 병원(삼성서울병원 등)과 협업 중
2. 스캐터랩(Scatter Lab)
- 홈페이지: https://scatterlab.co
- 분야: 챗봇, 감성 분석, 자연어 처리
- 매출·영업이익:
- 비상장사로 구체 수치 미공개
- 투자 유치(시리즈)로 자금 확보, 주로 R&D 및 서비스 운영에 재투자
- MAU:
- 대표 서비스 ‘이루다’ 챗봇: 출시 초기(2020년 말 ~ 2021년 초) 약 1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가입·대화 경험
- 이후 서비스 중단, 새 버전 개발 중 (개발·테스트 단계)
3. 업스테이지(Upstage)
- 홈페이지: https://www.upstage.ai
- 분야: 통합 AI 솔루션, 머신러닝 플랫폼(B2B)
- 매출·영업이익:
- 구체 수치 비공개, 여러 차례 투자를 통해 누적 수백억 원대 자금 유치
- 대기업·공공기관 프로젝트 수주 규모에 따라 매출 성장세
- MAU:
- B2B 형태의 ‘AI Pack’ 솔루션 제공, 개별 기업 사용자가 있으나 ‘MAU’ 개념보다 도입 기업 수가 주요 지표
4. 리드(Riiid)
- 홈페이지: https://riid.ai
- 분야: 에듀테크(적응형 학습 AI)
- 매출·영업이익:
- 비상장사, 토익 학습 앱 ‘산타토익’ 매출이 주된 부분. 해외(B2B) 솔루션 계약으로도 수익 발생
- 수백억 원대 투자 유치 이력, 수익화는 지속 확장 중
- MAU:
- ‘산타토익’은 가입자 수 누적 수백만 명 추정, 활성 사용자(MAU)는 시기별로 변동
- 해외 파트너사와 협업해 미국·일본 등지로 시장 확대 중
5. 스켈터랩스(Skelter Labs)
- 홈페이지: https://skelterlabs.com
- 분야: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추천 시스템 등 AI 전반
- 매출·영업이익:
- 비공개. 다수의 금융·유통 대기업과 챗봇/추천 시스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매출 발생
- 누적 투자 유치 수백억 원 규모(구글 출신 창업자로 유명)
- MAU:
- B2B 솔루션 중심이어서 별도 MAU 지표보다는 기업 고객사 수·프로젝트 수주 건수가 성과 지표
6. 마키나락스(MakinaRocks)
- 홈페이지: https://makinarocks.ai
- 분야: 제조·산업 AI (스마트 팩토리, 품질·설비 관리)
- 매출·영업이익:
- 대기업(자동차·배터리·반도체 등)과 PoC/프로젝트 단위 계약 → 점차 매출 증가 추세
- 투자 유치 통해 R&D 확대 중, 구체 금액은 비공개
- MAU:
- B2B 산업용 솔루션이므로 MAU 대신 고객사 레퍼런스 및 프로젝트 규모가 핵심 지표
7. 딥브레인AI(DeepBrain AI)
- 홈페이지: https://deepbrainai.io
- (혹은 https://www.deepbrainai.ai) 도메인도 사용
- 분야: AI 영상 합성, 가상 휴먼(AI 아나운서)
- 매출·영업이익:
- 국내 방송사, 금융권, 중국·미국 등 해외 클라이언트 상대 매출 발생
- 비상장, 정확한 금액 미공개. 2021년 이후 수백억 원 투자 유치 성공
- MAU:
- 기업용(B2B)으로 영상 콘텐츠 제작, 일반 사용자가 직접 이용하는 플랫폼은 일부(‘AI키오스크’ 등)
- MAU보다는 프로젝트 수행 건수나 기업 파트너 수가 주요 지표
8. 가우디오랩(Gaudio Lab)
- 홈페이지: https://gaudiolab.com
- 분야: 오디오 AI (공간 음향, 노이즈 제거, 음질 개선 등)
- 매출·영업이익:
- OTT, VR, 헤드폰 제조사 등과 기술 협업 계약 → 로열티 기반 수익 창출
- 비상장, 투자 유치 통해 R&D 강화
- MAU:
- 최종 소비자(OTT 시청자, 헤드폰 사용자)에 간접적으로 도달 → B2B 파트너 수·글로벌 서비스 적용 범위가 성과 지표
9. 솔리드웨어(Solidware)
- 홈페이지: https://solidware.io
- 분야: 금융·제조 분야 예측 모델링, AI 자동화 플랫폼
- 매출·영업이익:
- 국내 은행, 보험사, 제조 대기업 등에 예측 솔루션 판매
- 구체 수치 비공개, 여러 차례 시리즈 투자 유치
- MAU:
- ‘Automaker’ 플랫폼의 기업 사용자 수가 지표. 일반 소비자 대상 서비스는 아님
10. 에어스메디컬(AIRS Medical)
- 홈페이지: https://www.airsmedical.com
- 분야: 의료 AI (MRI 영상 복원, 재활 로봇 등)
- 매출·영업이익:
- 대형 병원·의료기관에 솔루션 공급. 글로벌 진출 모색
- 투자 유치 후 R&D 확장, 손익 수치는 공개되지 않음
- MAU:
- 의료기관 대상으로 B2B 납품, MAU 개념보다는 병원 도입 건수와 환자 스캔 건수가 성과 지표
그 외 주목할 만한 AI 스타트업
- Scatter: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챗봇 알고리즘 연구
- 플라잉카(Flyingcar): 문자인식(OCR), 문서 자동분류 등 RPA(자동화) 솔루션
- 스페이시움(Spacium): 우주산업+AI 융합 (위성 영상 분석, 항공사진 해석 등)
추가 참고 사항
- 비상장 스타트업의 경우, 매출·영업이익을 공식적으로 공개하지 않는 사례가 많습니다.
- **MAU(월간 활성 사용자)**는 주로 B2C(소비자 대상) 서비스에서 의미 있는 지표지만,
의료, 제조, 금융처럼 B2B 위주 산업에서는 도입 고객사 수, 프로젝트 수 등 다른 지표를 통해 성장성을 평가합니다. - 투자 유치 규모나 기업 가치(밸류에이션) 정보는 주로 언론 보도나 벤처캐피털 발표에서 제한적으로 언급되며,
실제 수치와 시점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가장 최근 소식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신 정보:
- 각 회사의 공식 홈페이지와 언론 보도,
- 스타트업 DB(로켓펀치, 더브이씨 등),
- K-Startup, 스타트업얼라이언스 행사 자료
등을 통해 업데이트된 재무·투자·프로젝트 현황을 살펴보세요.
'기술 투자 > 국내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한국 유니콘 스타트업 정리 (0) | 2025.03.03 |
---|---|
배달의민족 vs 쿠팡이츠: 수수료·배달속도·할인쿠폰까지 완벽 비교! (0) | 2025.03.03 |
CJ 올리브영의 성장 비결과 향후 IPO 전망: H&B 리테일 선두주자 (0) | 2025.03.03 |
노정석 대표와 비팩토리(B FACTORY): 테크 DNA로 혁신하는 K-뷰티 (0) | 2025.03.02 |
무신사 vs 에이블리 비교 (3)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