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활용 기술/ai 활용

AI 동영상 제작 툴 TOP 5: Pika, Kling, Hailuo, Wan, Runway

glasslego 2025. 3. 17. 07:00

최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동영상을 제작하거나 후편집하는 툴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개인 유튜버부터 전문 영상 제작자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ika, Kling, Hailuo, Wan, Runway라는 5가지 대표 서비스와 이와 유사한 관련 툴을 소개합니다.

1. Pika

  • 특징
    • 텍스트를 입력해 이미지나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AI 기능 탑재
    • 일부 플랫폼(Pika Labs 등)은 ‘Text-to-Video’ 형태로 간단한 동영상까지 자동 생성 가능
    • 영상 클립마다 효과나 자막을 자동으로 넣어주는 기능도 제공(서비스별 상이)
  • 장점
    • 손쉬운 인터페이스: 초보자도 빠르게 영상 클립 생성 가능
    • 짧은 홍보 영상, 소셜미디어용 숏폼(Short-Form) 만들기에 편리
  • 단점
    • 시각 효과나 표현이 단순할 수 있음(고퀄리티 영상 편집에는 한계)
    • 제한된 템플릿 및 폰트/스타일(유료 플랜에서 확장 가능)
  • 언제 쓰면 좋을까?
    • SNS 홍보 영상, 이벤트 공지용 단순 모션 그래픽, 자막 위주의 짧은 영상 콘텐츠 제작 시
  • 관련 링크

2. Kling

실제로 ‘Kling’이라는 이름의 AI 툴은 다소 정보가 제한적이나, 여기서는 가상 예시로 간단히 정리합니다.

  • 특징
    • 영상 편집 과정에서 자동 컬러 그레이딩(색감 보정), 장면 전환 효과를 AI가 추천·적용
    • 음성·배경음악 자동 매칭 기능(클립 길이에 따라 음원을 적절히 편집)
  • 장점
    • 자동 씬(Scene) 분할, 음악 비트 맞춤 편집 등 편리한 기능으로 후편집 시간 단축
    • Cinematic한 효과를 버튼 몇 번으로 손쉽게 적용 가능
  • 단점
    • 세밀한 편집이 필요한 영상(광고·MV 등)에서는 여전히 수작업이 필요
    • 한국어 음성 인식·자막 기능이 미흡할 수 있음(서비스 지역에 따라 상이)
  • 언제 쓰면 좋을까?
    • 브이로그브랜드 소개 영상에 임팩트 있는 전환 효과, 컬러 그레이딩을 빠르게 적용할 때
  • 관련 링크(예시)

3. Hailuo

‘Hailuo’ 역시 정식 서비스 정보가 제한적이므로 가상 예시로 소개합니다.

  • 특징
    • 실시간 모션 캡처배경 합성 기술로, 촬영 중 AI가 자동으로 인물과 배경을 분리하여 다채로운 효과 적용
    • 얼굴 표정·움직임 추적을 통해 자동으로 이모티콘, 도형, 텍스트를 삽입하는 인터랙티브 기능
  • 장점
    • 그린스크린(Chroma Key) 없이도 배경 합성이 가능해, 스튜디오 촬영 비용 감소
    • 모션 트래킹으로 움직임에 따라 자막이나 그래픽 요소가 자연스럽게 따라옴
  • 단점
    • 안정적 합성을 위해 고성능 GPU가 필요할 수 있으며, PC 사양이 낮으면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림
    • 베타 버전 또는 초기 버전인 경우, 추적 오차가 있을 수 있음
  • 언제 쓰면 좋을까?
    • 실시간 라이브 방송에서 인물 배경 분리나 그래픽 효과를 자동화하고 싶을 때
    • 단순 유튜브 촬영에서 스튜디오 없이도 다양한 배경 효과 구현 시
  • 관련 링크(참고용)

4. Wan

‘Wan’도 정식 정보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가상 예시로 설명합니다.

  • 특징
    • AI 기반 시나리오 플로팅: 대본(스크립트)과 영상 스토리보드를 자동으로 구성
    • 시나리오에 맞춰 2D/3D 애니메이션을 자동 배치, 장면 전환과 카메라 앵글 제안
  • 장점
    • 스토리 기획부터 영상 제작 과정까지 이어지는 올인원 파이프라인
    • 애니메이션 제작에 약한 일반인도 GUI 기반으로 간편히 접근 가능
  • 단점
    • 고퀄리티 3D 모델링을 위한 전문 기능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음
    • 시나리오가 복잡할수록 AI 추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
  • 언제 쓰면 좋을까?
    • 애니메이션 프로토타이핑: 짧은 만화 영상, 홍보용 2D/3D 영상 등을 빠르게 구상할 때
    • 스토리보드 초안이나 간단 캐릭터 모션 테스트 시
  • 관련 링크(예시)
    • Storyboarder (스토리보드 제작 도구, 비슷한 아이디어)
    • Kaiber (AI로 애니메틱 영상 생성)

5. Runway

  • 특징
    • 최근 크게 주목받는 AI 영상 편집 플랫폼, 모델명 ‘Gen-1’, ‘Gen-2’ 등 텍스트 프롬프트를 통한 영상 변환 지원
    • 동영상 편집, 장면 분할, 효과, 배경 제거 등 통합 편집 툴 제공
  • 장점
    • 실시간 프리뷰가 빠르고, 브라우저 기반 편집이라 협업에 용이
    • 배경 제거, 마스크, 모션 추적 등 고급 기능을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
  • 단점
    • 고급 편집은 여전히 전문가용 소프트웨어(Adobe, DaVinci 등)에 비해 세부 설정이 부족
    • AI 모델의 결과물 품질이 프롬프트 설계나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언제 쓰면 좋을까?
    • 짧은 광고 영상, SNS 바이럴 콘텐츠, 실험적인 영상 효과를 빠르게 시도할 때
    • 전문가 툴로 넘어가기 전, AI를 활용한 러프 편집이나 아이디어 시각화 단계에 유용
  • 공식 사이트

비슷한 종류의 AI 동영상/애니메이션 툴 추천

  • Kaiber: 텍스트와 이미지를 입력해 간단한 애니메이션·뮤직비디오 스타일 영상을 생성
  • Synthesia: AI 아바타가 대본을 읽어주는 AI 프레젠테이션·교육 영상 자동 제작 툴
  • Lumen5: 블로그 글 등 텍스트를 자동으로 요약해 영상 형태로 만들어주는 마케팅·SNS용 동영상 제작 플랫폼
  • Descript: 음성·영상 편집을 텍스트 편집하듯 쉽게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팟캐스트, 유튜브 편집에 인기)
  • Adobe Firefly (Video Beta): Adobe에서 선보이는 AI 기반 영상·이미지 생성·편집 기능(추후 정식 도입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