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검색과 리서치가 훨씬 편리해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툴이 특색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만큼, 본인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라이너(🇰🇷), Grok, Perplexity, Felo, Gemini DeepResearch를 중심으로 기능과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라이너(LINER)
주요 특징
- 하이라이트 & AI 요약 기능: 웹페이지, PDF 문서에서 원하는 문장을 드래그해 하이라이트하고, AI를 통해 간단한 요약/정리 기능 제공
- 북마크 & 큐레이션: 관심 있는 글을 모아둘 수 있으며, 나만의 주제별 컬렉션을 만들어 관리 가능
- 한국어 지원 우수: 국내 개발사이므로 한국어 환경에서 최적화된 사용 경험 제공
장점
- 사용 편의성: 크롬 확장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앱으로 쉽게 하이라이트·저장 가능
- 한국어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요약 기능 모두 한국어 지원이 뛰어남
- 협업 기능: 팀 또는 개인 간에 하이라이트 내용을 공유·코멘트 가능
단점
- 심층 분석의 한계: 기본적인 요약과 하이라이트에는 강점이 있으나, 복합적인 데이터 분석·대규모 문헌 조사에는 한계
- 유료 플랜 필요: 일부 고급 기능(고급 요약, 무제한 컬렉션 등)은 유료 플랜 이용 필요
활용 시점
- 논문·뉴스·블로그 등 웹 문서를 다량으로 읽을 때: 빠른 하이라이트와 요약으로 효율적인 독서 가능
- 자료를 쉽게 스크랩하고 메모할 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덕분에 지식 습득 및 재정리에 유리
공식 웹사이트: https://getliner.com/ko
2. Grok
주요 특징
- AI 챗봇·조언자 역할: 검색 쿼리나 질문에 대해 AI가 대화형으로 답변해주는 기능
- 슬랙(Slack) 기반 통합: 팀 협업용 메시징 툴인 Slack과 연동되어, 팀 채널에서 곧바로 AI 답변 확인 가능 (※ 서비스에 따라 별도 버전 또는 웹 버전이 있을 수 있음)
- 간단한 텍스트 요약: URL을 넣거나 텍스트를 붙여넣으면 AI가 빠르게 요약
장점
-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최적화: Slack 연동 시, 팀원들과 논의하는 도중에 바로 AI 답변을 얻을 수 있어 업무 효율 상승
- 실시간 검색 가능: 검색 엔진·자료 기반과 연동되어 실시간 정보를 빠르게 반영(서비스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단점
- 슬랙 중심의 사용 환경: Slack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활용성이 떨어질 수 있음
- 한글 최적화 여부: 영어 중심으로 개발된 경우가 많아, 한국어 기능은 일부 제한이 있을 수도 있음
활용 시점
- 팀 단위 협업 환경에서 즉각적 정보/요약 필요할 때: Slack 채널에서 대화 형태로 정보를 조회하고 요약 받을 수 있어 빠른 의사결정에 유리
- 단순 Q&A가 잦은 업무 환경: AI가 FAQ 등을 대신 답변해주어 업무 흐름 단순화
공식 웹사이트(예시): https://grok.ai (※ 실제 URL은 제공 서비스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검색 필요)
3. Perplexity
주요 특징
- 챗봇+검색 결합: 단순 대화형 AI가 아니라, 검색 결과를 함께 제시하여 출처(Reference)를 확인 가능
- Refine 기능: 추가 질문이나 답변 정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 깔끔한 UI: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과 이에 대한 검색 근거, AI 답변이 하나의 화면에 잘 정리되어 표시
장점
- 출처 제시: 각 답변에 대한 참고 링크를 제공하므로, 답변 신뢰도를 어느 정도 검증 가능
- 빠른 속도와 직관성: 심플한 디자인, 속도감 있는 검색 및 답변
단점
- 언어별 편차: 영어에서는 우수하지만, 다른 언어(한국어 포함)에서는 아직 데이터나 검색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
- 세부 컨텐츠 한계: 전문적이고 심층적인 분석보다는 Q&A 기반의 요약·출처 제시에 강점
활용 시점
- 빠른 팩트체크나 자료 출처 확인이 필요할 때: Perplexity는 근거 링크를 함께 제공하여 즉시 레퍼런스 검증 가능
- 간단한 검색과 요약을 한 번에 하고 싶을 때: 구글링+요약 과정을 한 화면에서 해결
공식 웹사이트: https://www.perplexity.ai
4. Felo
주요 특징
- AI 기반 텍스트 요약·집필 보조: URL이나 텍스트 입력 시 자동 요약, 문서 생성 등을 지원
- 문서 작성 워크플로우: 리서치부터 초안 작성, 퇴고까지 한 곳에서 진행할 수 있는 환경(서비스 정책에 따라 기능 상이)
- 협업 기능(일부 플랜): 동료와 함께 문서를 작성·편집·코멘트할 수 있는 기능 제공
장점
- 간결한 프로세스: 리서치→요약→작성→협업 등 문서 작성 전 과정을 한 툴에서 처리 가능
- UI/UX 편의: 웹 기반 워크스페이스가 직관적으로 구성되어, 초심자도 쉽게 접근
단점
- 언어 지원 범위: 한국어를 어느 정도 지원하지만, 일부 고급 기능(예: 고급 문서 템플릿 등)이 영어 최적화일 수 있음
- 유료 요금제: 팀 협업 기능 등은 유료 플랜 필요
활용 시점
- 블로그·뉴스레터·보고서 초안 작성 시: 간단한 레이아웃과 AI를 활용해 빠르게 초안을 만들고 다듬을 수 있음
- 작업 흐름 하나로 통합하고 싶을 때: 리서치 단계에서 문서 작성·협업까지 일원화할 수 있어 편리
공식 웹사이트: https://felo.app
5. Gemini DeepResearch
참고: “Gemini DeepResearch”는 구글(Alphabet) 산하 DeepMind에서 개발 중인 ‘Gemini’ 프로젝트와 혼동될 수 있으나, 본 포스팅에서는 “Gemini DeepResearch”라는 명칭으로 AI 리서치 툴을 가정하여 정리합니다. 실제 출시나 서비스 명칭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식 발표를 확인해주세요.
주요 특징
- 차세대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구글 DeepMind가 “Gemini”를 통해 GPT-4급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짐
- 연구·학술 분야 최적화: 단순 Q&A뿐 아니라, 논문 추천, 연구 데이터 분석, 과학적 정보 처리에 초점
- 멀티모달 기능 가능성: 텍스트·이미지·표·차트 등을 함께 처리하여 종합적 자료 이해를 지원할 것으로 기대
장점
- 고급 분석 능력: 대규모 학술 데이터에 대한 이해 및 추론 능력이 높아 전문적인 리서치에 유리(예상)
- 다양한 입력 양식 지원: 텍스트만이 아니라 이미지(도표) 기반 질의 등도 가능해질 전망
단점
- 출시 전(또는 초기 베타) 단계: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거나 제한적으로 테스트 중이므로 정보가 제한적
- 높은 시스템 요구사항: 대규모 모델 특성상 클라우드 사용 시에도 상당한 비용이나 리소스가 필요할 수 있음
활용 시점
- 전문 연구·학술 프로젝트 진행 시: 과학 논문 탐색, 방대한 자료 분석 등에서 차별화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
- 멀티모달 분석이 필요한 경우: 텍스트뿐 아니라 그래프·표·이미지를 함께 해석해야 하는 연구 프로젝트
참고 링크: DeepMind 공식 블로그(영문)
(“Gemini” 관련 정보는 아직 제한적이므로, 정식 발표 시 최신 자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각 툴 비교 요약
툴 | 주요 기능 | 강점 | 약점 | 활용 시점 |
라이너 | 하이라이트, AI 요약, 북마크 | 한국어 강점, 간편한 UI, 웹·PDF 하이라이트 | 심층 분석 제한, 고급 기능 유료 | 웹 문서·뉴스·논문 등 빠른 하이라이트&정리가 필요할 때 |
Grok | AI 챗봇, Slack 통합 | 협업 환경 최적, 실시간 검색 | Slack 미사용 시 제한, 한글 최적화 미흡 가능 | 팀 커뮤니케이션 중 즉각 정보 확인이 필요할 때 |
Perplexity | 검색+챗봇, 출처(Reference) 표시 | 출처 제공으로 답변 신뢰도↑, 빠른 응답 | 한국어 데이터 부족, 심층 분석 한계 | 빠른 팩트체크, Q&A 기반 검색·요약에 유용 |
Felo | AI 요약·집필 보조, 협업 | 문서 작성 워크플로우 일원화, 직관적 UX | 일부 고급 기능 영어 최적화, 유료 플랜 | 뉴스레터·블로그·보고서 등 문서 작성 전 과정을 단일화 |
Gemini DeepResearch | 차세대 LLM, 학술 리서치 | 전문 분석 및 멀티모달 가능성, 고성능 모델 | 출시 전 단계, 정보 제한적, 리소스 요구도↑ |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 논문·과학 데이터 분석 등 전문 분야 |
마무리
위의 다섯 가지 툴은 AI 기반으로 검색·요약·리서치·문서 작성 등을 돕는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사용 환경(슬랙 연동, 웹 하이라이트, 전문 학술 분석 등)**이 서로 달라 본인에게 맞는 툴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볍게 웹 문서를 스크랩&요약하고 싶다면 라이너
- 팀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실시간 AI 답변이 필요하다면 Grok
- 출처가 포함된 Q&A 검색을 빠르게 하고 싶다면 Perplexity
- 하나의 플랫폼에서 문서 작성 워크플로우를 완성하고 싶다면 Felo
- 최신 대규모 언어모델로 학술·연구용 분석을 기대한다면 Gemini DeepResearch
'IT 활용 기술 > ai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분석에 탁월한 구글 AI Studio 활용법 (0) | 2025.03.17 |
---|---|
AI 동영상 제작 툴 TOP 5: Pika, Kling, Hailuo, Wan, Runway (0) | 2025.03.17 |
효율적인 팀 협업을 위한 AI 회의록 솔루션, 티로(Tiro) (0) | 2025.03.17 |
AI 아바타 헤이젠(HeyGen): 영상 콘텐츠 혁신을 위한 솔루션 (0) | 2025.03.17 |
이미지 생성(무료): ImageFX, Recraft 등 무료 AI 아트 툴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