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투자/국내 기업

국내 주요 핀테크 업체 비교: 카카오페이·토스·카카오뱅크 등 매출·영업이익 및 미래 전략

glasslego 2025. 3. 5. 00:00

1. 국내 핀테크 시장 개요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국내 핀테크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간편결제, 모바일 뱅킹, 온라인 송금 등 금융서비스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서비스가 쏟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국내 주요 핀테크 기업들의 매출 및 영업이익, 그리고 연도별 히스토리와 수익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2. 주요 핀테크 업체별 현황 및 연도별 2019~2024 현황 

업체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주요 특징 및 히스토리
카카오페이 매출액 5,900 7,500 11,830 15,000 18,000 22,000 - 2017년 간편결제 서비스 시작
- 2021년 IPO 상장- 모바일 송금·결제 시장 선도
  영업이익 -80 -50 -112 50 300 500 - 2022년 흑자 전환 추정
- 결제 수수료∙광고 사업 확대
토스 (Viva Republica) 매출액 1,500 3,900 8,000 11,000 14,500 18,000 - 2015년 ‘토스’ 출시
- 간편송금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 해외 진출 적극 추진
  영업이익 -200 -720 -1,000 -700 -200 100 - 공격적 투자로 적자 지속
- 사용자 기반 확장 후 수익화 집중
네이버파이낸셜(NAVER Pay) 매출액 3,500 5,200 7,000 9,000 11,500 14,000 - 2019년 네이버파이낸셜 분사
- 쇼핑∙검색 연계 결제 서비스 성장
- ‘네이버통장’ 등 금융상품 출시
  영업이익 50 80 100 200 400 600 - 플랫폼 생태계 시너지-
광고·마케팅 비용 증가 추세
페이코(Payco) 매출액 1,200 1,800 2,700 3,200 4,000 5,000 - NHN㈜가 운영-
게임·엔터테인먼트 결제 및 쿠폰 사업
- 오프라인 가맹점 확대
  영업이익 -100 -150 -120 -50 0 100 - 적자 폭 감소, 구조개선 진행-
구독형 서비스 결제 역량 강화
카카오뱅크 매출액 7,900 9,300 12,780 16,000 21,000 26,000 - 2017년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 2021년 코스피 상장- 주택담보대출 등 상품 다각화
  영업이익 80 110 1,570 2,000 3,000 4,500 - 예대마진 기반 영업이익 확대
- 비대면 중금리 대출 확대
케이뱅크(K bank) 매출액 1,200 2,500 3,500 5,000 7,000 9,000 - 2017년 1호 인터넷전문은행
- 2020년 정상화 이후 공격적 영업
- 2021년 흑자전환 성공
  영업이익 -500 -170 230 700 1,200 2,000 - 예대마진∙제휴사업 수익 증가
- IPO 추진설 지속

주의: 2023년 추정 및 2024년 전망 수치는 시장 전망과 일부 보도자료를 근거로 가정한 것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해설

  1. 카카오페이: 카카오톡 기반의 간편결제·송금 서비스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2022년부터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가시화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2. 토스(Viva Republica): 공격적 투자와 해외 진출로 적자 규모가 크지만, 사용자 수 확대 후 본격적인 수익화에 성공한다면 2024년 이후 흑자 전환이 예상됩니다.
  3.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 생태계(쇼핑·검색·웹툰 등)와 연계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금융상품(통장·보험)으로 서비스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4. 페이코(Payco): 게임, 엔터테인먼트 결제와 쿠폰 발행 등으로 차별화된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구독경제 분야 결제 솔루션 확장을 통해 적자 폭을 줄여가고 있습니다.
  5. 카카오뱅크: 예대마진 중심의 인터넷전문은행 사업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비대면 상품 확장으로 성장세가 더욱 가팔라질 전망입니다.
  6. 케이뱅크(K bank): 1호 인터넷전문은행의 이점을 살려 빠른 속도로 정상화에 성공, 향후 IPO(기업공개)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업체별 수익 전략 및 특징

  1. 카카오페이
    • 결제 및 송금 수수료 수익: 카카오톡 플랫폼과 연계해 개인 송금‧결제를 손쉽게 이용하도록 하여 대규모 고객 확보
    • 광고∙마케팅 플랫폼 연계: 결제 상세페이지나 송금 완료 화면 등에 광고∙쿠폰 제공
    • 금융상품 중개: 보험, 투자상품, 대출 등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확장
  2. 토스(Viva Republica)
    • 폭넓은 금융 서비스 제공: 간편송금에서 시작해 증권, 보험, 대출 중개 등으로 확장
    • 적극적인 투자 유치: 대규모 투자를 통해 고객 기반 빠르게 확대, 적자 상태지만 미래 가치에 집중
    • 사용자 친화적 UI/UX: 간편함과 실시간 알림, 고객 데이터 분석으로 타겟 맞춤형 상품 제안
  3. 네이버파이낸셜(NAVER Pay)
    • 네이버 생태계 시너지: 검색, 쇼핑, 웹툰 등 네이버의 다양한 플랫폼과 결합해 결제량 확대
    • 포인트 및 적립 혜택: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통한 락인(Lock-In) 효과
    • 금융상품 연계: 네이버통장, 투자, 보험 등 서비스 확장
  4. 페이코(Payco)
    • 오프라인 가맹점 확대: 음식점, 카페, 편의점 등 다양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페이코 결제 가능
    • 쿠폰∙마케팅 플랫폼: 게임, 뮤직, 웹툰 등 엔터테인먼트 결제와 연동한 마케팅 전략
    • 구독 서비스 결제 특화: 꾸준히 증가하는 정기 구독 시장에 대한 결제 솔루션 제공
  5. 카카오뱅크
    • 편리한 비대면 뱅킹: 모바일로 모든 은행 업무가 가능, 24시간/365일 송금·계좌개설
    • 예대마진 및 중금리 대출: 전통은행 대비 낮은 비용구조로 중금리 대출 시장 공략
    • 플랫폼 연계: 카카오톡 알림 등 카카오 생태계와의 시너지 극대화
  6. 케이뱅크(K bank)
    • 통신사 연계 혜택: KT를 통한 마케팅, 제휴 요금 할인 등 고객 확보
    • 스탁론(주식담보대출)·아파트담보대출: 다양한 대출상품으로 이자 수익 극대화
    • IPO 추진 기대감: 흑자전환 후 기업공개 가능성으로 추가 자본 확충

4. 연도별 매출‧영업이익 추이 및 시사점

  • 성장률 가파름: 대부분의 핀테크 업체들이 매해 20~50% 이상의 고성장률 기록.
  •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 중: 대규모 마케팅 투자와 공격적인 사업 확장으로 일부 업체는 적자가 지속되지만, 사용자 규모 확보 후 수익화가 본격화되면 흑자전환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
  • 규제 환경 변화 주시: 금융위원회의 핀테크 규제 완화,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 등 제도 변화가 기업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침.

5. 결론 및 전망

국내 핀테크 시장은 앞으로도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비대면 금융서비스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간편결제∙모바일뱅킹∙투자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 편의성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가 핵심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 수익보다는 시장 점유율핀테크 생태계 확장성을 눈여겨봐야 합니다. 특히 수익이 적자이더라도 플랫폼 규모를 확장해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이후 영업이익 개선 속도가 빨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6. 관련 참고 링크

  1.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2. 카카오 IR 페이지
  3. 카카오페이 공식 웹사이트
  4. 토스(Viva Republica) 공식 웹사이트
  5. 네이버파이낸셜(NAVER Pay) 공식 웹사이트
  6. 페이코(Payco) 공식 웹사이트
  7. 카카오뱅크 IR 정보
  8. 케이뱅크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