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최근 텍스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이미지 생성 AI가 크게 주목받았는데요. 이제는 동영상을 생성해주는 AI 모델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글이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진 **“Veo 2(비오 2)”**라는 모델은, 단순한 이미지 합성 수준을 넘어 정교한 영상 편집 및 생성 기능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eo 2의 특징, 적용 가능성, 그리고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를 토대로 한 시장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2. Veo 2(비오 2)란?
- 개념
- 구글 내부 연구팀(특히 Google Research, DeepMind, Brain Team 등)에서 진행 중인 차세대 동영상 생성 AI 모델로 거론
- 텍스트 프롬프트(명령)만으로도 일정 길이의 동영상을 자동 합성하거나, 특정 스타일에 맞게 편집까지 가능하도록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짐
- 이름과 정확한 발표 여부
- “Veo 2”라는 명칭은 아직 공식 브랜드로 완전히 확정된 것은 아니며, 사내 프로젝트명 혹은 개발 코드명일 가능성도 있음
- 구글이 이전에 발표한 Imagen Video, Phenaki, Dreamix 등의 연구 성과를 통합·업그레이드한 버전이라는 분석도 제기
3. 주요 특징 (예측 & 전망)
- 멀티모달 이해능력
-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맥락 정보를 함께 분석해 ‘영상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예: “사막에서 낙타가 걸어가는 10초 분량 애니메이션” 같은 프롬프트 입력 시, 장면 전환·배경음 등의 요소까지 자동 생성
- 초고해상도·고프레임률
- 기존 텍스트-비디오 생성 모델(예: Phenaki, Imagen Video)은 해상도나 길이에 제한이 있었음
- Veo 2는 이를 개선해, 1080p 이상의 해상도와 30~60fps 수준까지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
- 부분 편집·확장 기능
- 이미 완성된 영상을 부분적으로 수정(edit)하거나, 이어 붙여서 새로운 장면을 만들어낼 수 있는 비디오 인페인팅(video inpainting) 기술 적용 예상
- 영상의 특정 구간만 스타일 변경(예: 만화풍, 3D풍)도 가능할 것으로 보임
- 협업/코랩 기능
- 구글은 기존 Google Docs, Slides 등 협업 툴에 AI 기능을 결합해온 전례가 있음
- Veo 2 역시, 팀원들이 동시에 편집하거나 코멘트를 달 수 있는 협업 환경 지원 가능성
4. 기대되는 활용 분야
- 영상 제작·영화 산업
- 시나리오 초안을 AI가 빠르게 비주얼로 구현해, 프리비즈(pre-visualization) 작업을 대폭 단축
- 저예산 영화,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에게 ‘프로토타이핑’ 툴로 유용
- 광고·마케팅
- 제품 설명이나 광고 콘티를 텍스트로 입력하면, AI가 컨셉 영상을 자동 생성
- SNS용 숏폼(short-form) 영상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음
- 교육·강의 콘텐츠
- 역사, 과학 등 추상적인 개념을 시각화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영상 콘텐츠 자동 생성
- 교사·교육기관 입장에서 직접 영상 편집 기술 없이도 고품질 자료 제작 가능
- 개인화된 콘텐츠 창작
- 개인 블로그나 유튜브 채널 등에서, 사용자 고유 스타일의 영상을 AI가 맞춤 생성
- 예: “내 펫 사진을 활용해서 1분짜리 동화풍 애니메이션 만들어줘” 등
5. 기술적 한계 및 과제
- 저작권·표절 문제:
- 동영상은 이미지·음성·음악이 복합적으로 들어가는 매체인 만큼, 원본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충돌 우려가 큼
- AI 모델 학습 과정에서 ‘불법 복제’나 ‘표절’ 리스크를 어떻게 방지할지가 핵심 과제
- 윤리·중복 콘텐츠:
- 허위정보나 폭력적·성적 콘텐츠를 생성할 가능성
- 사용자 유입이 늘어날수록 콘텐츠 검열(Content Moderation) 방안이 중요해질 전망
- 연산 비용:
- 텍스트->이미지보다 훨씬 많은 GPU/TPU 리소스를 요구
-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라도, 고화질 장시간 영상 생성 시 막대한 비용 발생 가능
- 미흡한 상용화 정보:
- 현재는 연구단계 수준이라는 관측이 대부분
- 실제 일반 개발자용 API나 **제품화(예: Google Cloud, Colab integration)**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음
6. 관련 링크 (영문 자료 중심)
- Google Research 블로그
- https://ai.googleblog.com/
- 구글 AI팀의 최신 연구 결과·논문 발표 확인 가능
- Phenaki 논문 (구글의 텍스트-비디오 모델)
- https://phenaki-research.github.io/
- Veo 2가 Phenaki 기반으로 발전했다는 루머가 있으므로 참고할 만함
- Imagen Video 소개 페이지
- https://imagen.research.google/video/
- 구글이 공개한 이미지->비디오 확장 기술 사례
- TechCrunch ‘Google Video AI’ 관련 기사
- https://techcrunch.com/tag/google-video-ai/
- 구글의 영상 AI 연구 소식이 종종 업데이트됨
주의:
- 현재 “Veo 2”라는 명칭으로 된 공식 페이지는 없는 상태입니다.
- 위 링크들은 구글 동영상 AI 연구의 근간이 된 다른 프로젝트 자료를 참고하기 위한 용도로 제시합니다.
7. 결론
**Veo 2(비오 2)**는 구글이 차세대 동영상 생성 AI 기술을 연구·개발 중이라는 소식에서 비롯된 가칭에 가까운 프로젝트로 보입니다. 텍스트에서 시작해 고퀄리티 영상을 자동 생성한다는 점, 그리고 영상 편집·확장 기능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엔터테인먼트, 광고,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서 큰 변화를 일으킬 잠재력이 큽니다.
다만, 공식 발표 이전까지는 구체적인 출시 일정이나 API 형태 등이 미확정이므로, 구글 AI 블로그나 기술 콘퍼런스(예: Google I/O)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콘텐츠 제작의 패러다임이 한 번 더 뒤바뀔 수도 있겠습니다.
veo2 사용해보기
1. Google Labs 대기자 명단 등록: 현재 Veo2는 18세 이상의 미국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VideoFX 도구에서 Google Labs의 대기자 명단에 등록해야 합니다
2. 승인 대기: 가입 후 계정이 Veo2에 대해 승인되면 이메일 알림을 받게 됩니다
3. VideoFX 접속: 승인되면 VideoFX 페이지에서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도구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4. 프롬프트 입력: 원하는 비디오의 내용을 설명하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5. 비디오 생성: 입력한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Veo2가 자동으로 비디오를 생성합니다
6. 결과 확인 및 다운로드: 생성된 비디오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다운로드하거나 공유할 수 있습니다
Veo2는 최대 4K 해상도의 고화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각적 스타일을 지원합니다
* 현재 베타 버전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유튜브 소개 영상: https://youtu.be/zLkzTuTklrM
'IT 활용 기술 > ai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Charm에서 Cursor로 넘어가기 - 주요 단축키와 AI 리팩토링 팁 (0) | 2025.03.05 |
---|---|
마인드덕(Mind Duck): 창의적 사고를 돕는 직관적 아이디어 매핑 툴 (0) | 2025.03.05 |
커서(Cursor) 사용해보기 (0) | 2025.03.05 |
AI 에이전트 vs 워크플로우: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의 차이점과 활용 (0) | 2025.03.04 |
AI 거버넌스 플랫폼: 윤리·규제·보안 관리의 핵심 솔루션 (1)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