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티스토리·워드프레스·구글 블로그 비교 & 수익화 전략
glasslego
2025. 3. 6. 23:00
1. 주요 플랫폼 개요
(1) 티스토리(Tistory)
- 개발사/운영사: 카카오(구 다음)
- 형태: 블로그 개설 시 *.tistory.com 서브도메인을 제공하거나, 커스텀 도메인 연결 가능
- 특징:
- 설치형이 아닌 호스팅 제공 블로그. 단, 광고 스크립트나 HTML·CSS·JS 수정에 비교적 자유로운 편
- 애드센스(AdSense), 애드핏(AdFit) 등 외부 광고 플랫폼 연동에 용이
- 초반 트래픽 유치가 어려울 수 있으나, 잘 운영하면 개인 브랜드 구축이 쉬움
- PC·모바일 스킨 다양, 꾸미기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폭이 상대적으로 제한(WP보다 적지만 네이버 블로그보단 자유도 높음)
(2) 워드프레스(WordPress)
- 개발사: 오픈소스 커뮤니티 + Automattic(워드프레스닷컴)
- 형태:
- WordPress.com (호스팅형)과 WordPress.org (설치형) 두 가지로 나뉨
- 대부분 수익화를 위해선 자체 서버나 호스팅(카페24, 고대디 등)에 설치하는 WordPress.org를 선호
- 특징:
-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
- 테마, 플러그인 무궁무진, 자유도 최고
- 호스팅 비용/관리 부담이 있을 수 있으나, 트래픽이 커지면 스케일업이 자유로움
- SEO(검색 최적화) 측면에서 많은 플러그인을 활용 가능(예: Yoast SEO)
- 비즈니스 사이트부터 블로그까지 유연하게 확장 가능
(3) 구글 블로그(Blogger)
- 개발사: 구글(Google)
- 형태: *.blogspot.com 서브도메인 또는 커스텀 도메인 연결 지원
- 특징:
- 구글 계정만 있으면 무료로 쉽고 빠르게 개설 가능
- 애드센스(AdSense) 승인/연동이 비교적 용이
- 테마·디자인 변경은 가능하지만, 워드프레스처럼 다채롭지는 않음
- 관리 및 운영이 간단하고, 구글 계정과 깊이 연동(Analytics, Search Console 등)
- 해외 이용자도 많아, 영어권 등 글로벌 타깃 운영 시 편리
2. 장단점 비교
항목 | 티스토리 | 워드프레스 | 구글 블로그(Blogger) |
초기 진입 | 가입 후 바로 개설 가능. 초대제 폐지(2018년)로 접근 용이.가입 절차는 단순하지만 옛날 초대제 기반 이미지 남음. | WordPress.org 기준, 호스팅/도메인 세팅 필요.초반에는 다소 복잡하지만, 무제한 확장성 | 구글 계정만 있으면 즉시 사용 가능개설 절차 가장 단순 |
커스터마이징 | 스킨·HTML 편집은 가능하지만 완전한 자유도는 아님(WP보다 제한적) | 전 세계 수천만 테마·플러그인.자유도 최고 다만 서버 관리 필요 | 테마 선택 제한, HTML 편집 가능하지만고급 기능은 상대적으로 빈약 |
수익화 용이성 | AdSense, 애드핏, 쿠팡 파트너스 등 외부 스크립트 삽입 가능원활한 수익화(광고·제휴 등) | 광고 플랫폼 제한 거의 없음전자상거래(쇼핑몰)로 확장도 쉽고본격 사업화 가능 | AdSense 연동 가능.무료 호스팅이라 비용 부담 없지만,확장성은 제약 |
SEO/검색 노출 | 다음 포털과 연계되어 노출 강점이 있기도 했으나,지금은 크게 차이 없음. 독립 블로그라 네이버 유입은 초기 노출 불리함 | SEO 플러그인, 사용자 정의 URL 등최적화 작업에 유리구글/네이버 모두 잠재력 큼 | 구글 계열이라 구글 검색 노출엔 유리하다는 설이 있으나네이버 유입은 비교적 적은 편 |
운영 난이도 | 설정 메뉴 한글화, 대체로 직관적PC·모바일스킨 다양하나,심화 커스터마이징은 다소 복잡 | 서버·호스팅 관리 필요.초보자에겐 약간 부담. 하지만 워드프레스 안내 자료 풍부 | 구글 서비스 스타일설정 심플, 초보자 접근 쉬움기능은 제한적 |
기타 | 네이버 블로그보다 자유로운 수익화 구조PC 버전 관리 화면은 UI가 다소 옛날 느낌 | 웹사이트·쇼핑몰까지 확장 가능오픈소스 커뮤니티 지원 매우 많음 | 통계, 애널리틱스 등 구글 생태계완전 무료, 단순 블로그용으로 안정적 |
3. 각 플랫폼 수익화 전략
(1) 티스토리(Tistory)
- 구글 애드센스(AdSense) 삽입
- 가장 대표적인 수익화 방식. 티스토리는 HTML·스크립트 편집을 허용하므로, 애드센스 코드를 직접 삽입하면 된다.
- 글 하단, 사이드바, 본문 중간 등 위치 최적화가 관건.
- 애드센스 승인을 위해서는 품질 있는 콘텐츠 작성과 규정 준수가 필요.
- 국내 광고 네트워크(애드핏, mediadi 등) 연동
- N사 애드핏(AdFit)을 붙여 CPM, CPC 광고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
- 단, 트래픽이 많지 않다면 큰 수익을 기대하긴 어렵다. 적절한 위치에 노출하되, 사용자 경험 훼손은 주의.
- 제휴마케팅, 쿠팡 파트너스
- 블로그 콘텐츠에 관련 제품 링크를 삽입하여 판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수수료를 받는다.
- 예) 도서 추천, IT 기기 리뷰 시 쿠팡 파트너스 링크, 오픈마켓 제휴 등.
- 유료 콘텐츠/강의 연결
- 티스토리는 커머스 플러그인 자체는 없지만, 가볍게 유료 전자책이나 강의 플랫폼(클래스유, 탈잉 등) 링크로 연결할 수 있다.
- 전문 분야 지식 제공 → 문의/유료 컨설팅 유도.
장점: 초기 진입 장벽 낮음, HTML 편집 가능해 외부 광고/파트너스 연동이 자유로움
단점: 서버·DB 관리는 호스팅사(카카오) 소관, 기능 커스터마이징에 한계
(2) 워드프레스(WordPress)
여기서는 설치형 워드프레스(WordPress.org)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광고 플랫폼 및 애드센스
- 외부 광고 스크립트 제한이 사실상 없음. 원하는 위치, 원하는 방식으로 광고 배치 가능.
- 애드센스, 애드핏, 미디어넷 등 다양한 광고 네트워크와 연동.
- 쇼핑몰 연동 (WooCommerce)
- 세계적으로 유명한 워드프레스 쇼핑몰 플러그인인 WooCommerce를 설치하면, 자체 쇼핑몰 운영 가능.
- 제품 판매, 디지털 상품(전자책, 디자인 파일) 판매 등 다채로운 수익화 모델 확장.
- 멤버십/유료 구독
- 특정 콘텐츠를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하는 플러그인(예: MemberPress, Paid Memberships Pro) 활용.
- 예) 프리미엄 강의, 마스터클래스, VIP 게시판 등 고급 콘텐츠 수익화.
- 제휴마케팅/파트너 프로그램
- 전문적이고 방대한 리뷰 사이트를 구축하여, 제휴 링크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음.
- 특정 제품군(IT, 패션, 뷰티 등) 전문 사이트로 키워 트래픽을 모으고, 제휴 링크로 CPA(Click per Action) 수익 창출.
- 광고 관리 플러그인, SEO 플러그인
- Advanced Ads, Ad Inserter 등 광고 관리 플러그인을 통해 광고 배치·AB 테스트도 가능.
- Yoast SEO, Rank Math 등의 SEO 플러그인으로 검색 노출을 극대화하면 트래픽 → 수익 선순환 가능.
장점: 무한 확장성, 자유도, 서버·DB까지 자신 소유 → 사이트 성장에 제약이 적음
단점: 호스팅 비용, 보안·백업·업데이트 등 직접 관리 필요, 초심자에게는 다소 복잡
(3) 구글 블로그(Blogger)
- 애드센스(AdSense) 연동
- 구글 계정 + 블로거 -> 애드센스 신청·승인 프로세스가 비교적 단순함.
- Blogger 대시보드에서 “수익” 탭을 통해 애드센스와 바로 연결 가능(단, 승인 요건 충족 전까지는 광고 표시 안 됨).
- 기타 광고 스크립트
- 테마 HTML 편집이 가능하지만, 간혹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AdFit, Mediadi 등 국내 네트워크는 코드 호환성에 문제 없는지 확인해야 함.
- 제휴마케팅
- 일반적인 링크 삽입(쿠팡 파트너스, 아마존 어소시에이트 등)으로 수익 가능.
- 다만 워드프레스처럼 쇼핑몰 플러그인(우커머스 등) 설치는 불가.
- 글로벌 타깃으로 운영 시, 아마존 어소시에이트 등 해외 제휴마케팅에 유리하다는 의견도 있음.
- 유료 콘텐츠 연결
- 구글 블로그에는 유료화 플러그인이 없다.
- 별도 플랫폼(스터디파이, Patreon, Gumroad 등)을 링크로 연결해 유료 후원이나 eBook 판매를 유도할 수는 있음.
장점:
- 구글이 제공하므로 서버 다운 걱정 거의 없음, 완전 무료
- 애드센스 최적화가 비교적 간단
단점:
- 테마, 기능 확장이 제한적
- 전문 사이트/쇼핑몰 등으로 키우기는 어려움
- 국제적으로는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지만, 한국에서는 사용자층 적음(트래픽 확보 과제)
4. 어떤 플랫폼을 선택해야 할까?
- 취미 블로그 or 간단 정보 공유
- 구글 블로그(Blogger) 또는 티스토리가 적합. 비용 제로에 가깝고, 운영이 상대적으로 간편.
- 광고/제휴로 소소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 전문 콘텐츠 & 국내 트래픽 대상
- 티스토리가 무난한 선택. 네이버 블로그만큼은 아니지만, 국내 블로거 사이에 인지도 높고, 애드센스·애드핏 등 수익화를 쉽게 시도 가능.
- 본격적으로 성장시키고 싶음 or 글로벌 시장
- 워드프레스 권장. 확장성과 전문성을 겸비해 장기적으로 브랜드 및 사이트 규모를 키우기에 유리.
- SEO, 커머스 기능, 멤버십 등 복합 수익 모델 구축 가능.
- 개발/디자인 커스터마이징 능력
- 워드프레스 설치형 → 테마·플러그인・코드 수정 자유도 최상.
- 티스토리는 중간 정도, Blogger는 제한이 많음.
5. 결론 & 한줄 요약
- 티스토리: 국내 운영 & 중간 난이도. 애드센스·애드핏 등 광고/제휴마케팅으로 안정적인 수익 노림.
- 워드프레스: 자유도 최상, 호스팅 비용 & 관리 부담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상업적 확장에 최적.
- 구글 블로그: 설정 간단, 해외 대상 운영에도 좋음. 애드센스 연동 쉬우나 기능 제한 큼.
수익화 전략 관점에서 3개 플랫폼 모두 애드센스, 제휴마케팅 중심의 전환이 가능하나, 워드프레스가 가장 다채로운 방법(쇼핑몰, 멤버십 등)을 지원합니다. 티스토리는 관리 편의성과 국내 광고 플랫폼 연동성, 구글 블로그는 단순함과 완전 무료 호스팅이 장점이니, 본인의 목표 시장·기술 역량·확장 의지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Tip:
- 어떤 플랫폼을 쓰든 콘텐츠 품질, 정기적 업데이트, 유익함이 핵심입니다.
- 플랫폼 선택은 초기 설계에 불과하며, 성공적인 블로그 운영은 지속적인 운영, 마케팅, 트래픽 관리가 좌우합니다.
이 글이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구글 블로그 중 고민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자신의 목적(수익화, 브랜딩, 취미 등)에 가장 잘 맞는 플랫폼을 선택해 성공적인 블로그 라이프를 시작해보세요!